최근에 교육부 페이스북에 국정화 찬성 만화가 올라왔다. 여러가지 말도 안 되는 소리들이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학생들을 주체적으로 생각하는 존재가 아니라 가르치는 대로 받아들이는 존재라고 가정하는 부분이 제일 마음에 안 들고, 그래서 국정 역사 교과서를 만들어서 학생들에게 ‘자랑스런 대한민국’으로 생각하게 만들겠다는 부분은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과 다를 바 없는 세뇌교육이라 생각한다.

아이러니하게 공유한 만화에도 나와 있는 것처럼 역사는 객관적인 사실의 나열이다.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빠른 경제 성장이 자랑스러운 역사라면 70~80년대 독재 정권이나 베트남전의 만행들은 부끄러운 역사다. 잘한 점에서는 배우고 못했던 점은 반성하면서 더 나은 미래를 만들 수 있도록 교육해야한다. 게다가 국정 역사 교과서가 자랑스러운 역사의 나열일지 부끄러운 역사를 자랑스럽다고 포장한 것일지 의문이기도 하고.

대한민국이 고칠 점이 한참 남았긴 해도 희망을 버릴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헬조센이라는 표현을 그닥 좋아하지는 않지만, 이만큼 짧은 단어 안에 대한민국의 다양한 문제를 함축하는 사례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표현이 유행할 수 있었다고 생각하고. 그런데 정부는 청년들이 헬조센을 외치는 원인을 고칠 생각은 하지 않고, 헬조센을 헬조센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만드는데 노력을 쏟고 있는걸 보면 문제 인식에 한참 차이가 있나 보다.

고2때쯤 socket.io를 배워서 웹으로 한 번 만들어 봐야 겠다고 생각한 컨셉의 게임인데 역시 세상은 넓고 같은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많으며, 보통 그 사람들이 나보다 행동력이 좋다. 지난 겨울방학 때 socket.io 배우려고 시도했었는데 socket.io 플래시 연동이랑 게임 로비까지 만들고 그대로 묻혔다. 겨울방학 때 만들던 게임은 이 컨셉 게임은 아니었고 3:3 탑뷰 대전게임으로 기획했었는데 사실 로비만 만들고 대전 부분은 하나도 안 만들어서 뭘 만들었다고 할 수준은 아니었다.

여튼 내 경험은 제쳐두고 게임 자체만 봤을 때도 아기자기하게 잘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맵 별로 블럭 밀기나 이동하는 플랫폼 등 전형적인 퍼즐 뿐 아니라 공튀기기나 동전 수집 등 플레이어의 인원수로 인터랙션 하는 장치들 디자인이 참신하다. 나오면 마음 맞는 사람들(트롤링 하지 않을 사람들) 모아서 한 번쯤 같이 시도해 보고 싶기는 하다.

몇 달동안 계속 풀려고 시도 중인 JOI 전압을 코딩 도전해 보고 있는데, 오랜만에 문제 푸는 김에 코딩 습관도 바꿔 보려고 한다.

1

일단 자바스크립트랑 액션스크립트를 하면서 생긴 버릇인데, 얘들은 블록 스코프가 없어서 for문 인덱스 변수를 바깥에 선언해 주어야 한다.

var i;
for (i = 0; i < n; i++);

그런데 블록 스코프가 있는 언어 다른 언어에서 이렇게 쓰면 코드가 길어지고 큰 이득이 없는 것 같아서 일단 for문 내부 스코프 사용하는 for (int i = 0; i &lt; n; i++) 방식으로 변경해 보려고 한다. 이렇게 쓸 때 문제는 for문 안에서 break하고 다 돌았는지 아닌지 i랑 n이랑 비교하면서 검사할 때 비교가 불편하다는게 있긴 한데 일단은 시험삼아 적용해 보는 것으로 결정.

2

1이랑 연관된 내용. for문 인덱스 변수로 보통 ijk를 많이 사용해 왔는데 되도록이면 의미있는 이름을 짓기로 했다.

이건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건데 타이밍이 애매해서 못 바꾸고 있었다. 몇 주 코딩 쉬다가 다시 복귀하는 타이밍이 괜찮아서 이 참에 이 습관도 바꾸기로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