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대했던 것 보다는 노잼이었다. 가까우면 찾아가서 볼만하기는 한데 굳이 멀리서까지 가서 볼 필요는 없는 정도. 소개하고 싶은 건 네 가지 정도가 있다. 지오메트리 핸드, 뇌파로 조종하는 게임, 구글 글래스, 웨어러블 자세 교정이 그것이다.

지오메트리 핸드는 무게 측정, 길이 측정, 각도 측정이 가능한 장갑이다. 손가락 끝에 달려 있는 센서로 슥 그으면 길이 측정이 된다. 디미고 2학년들이 개발했고, 미창부 주최 대회에서 최우수상(600만원)을 받았다. 기존에 줄자나 각도기 등으로 재는 과정이 그냥 대고 손가락 긋는거 하나로 처리되서 굉장히 실효성이 높아 보였다. 인테리어 분야 등에서 잘 쓰일 수 있을 듯. 디미고 쟝쟝맨들…

뇌파 조종 게임은 레이싱 게임이었는데 립모션으로 좌우 방향을 조정하고, 집중력에 따라 차 전진 속도가 달라진다. 뇌파는 다 사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집중할 때랑 안 할 때랑 확실히 미묘한 느낌차이가 있는데, 그 미묘한 느낌 차이에 따라 속도도 달라지더라. 딴 생각하면 느려지는게 신기했다. 게임 자체는 쿠소겜이었지만 재밌는 체험이었다. 나이랑 성별을 입력하던데 아마 데이터를 수집하는 듯 하다. 동의서 같은거 안 받았는데 이래도 되는건가 의문이 들었지만 뭐 별 정보도 없으니 그냥 넘어갔다. 끝나면 집중력 그래프를 보여주는데 평균 이상은 했는데 그닥 높지는 않았다. 내 앞뒤에 서 있던 초딩들이 엄청나게 잘 하더라 ㄷㄷ함… 게임을 통해 집중하는 법을 배워보세요!라는 모토로 학부모들을 낚던데 게임 집중력이 공부 등 다른 분야에도 적용되는지는 모르겠다. 공부 잘 하는 사람들이 게임 잘 하는 경우가 많은 걸 봐서 아주 신빙성이 없는 것 같지는 않지만 여튼 약팔이의 기운이 살짝 났다.

구글 글래스는 제일 기대하고 갔던 제품인데 많이 실망스러웠다. 처음에는 구글에서 직접 한다고 알고 있었는데 알고보니 구글 글래스 동호회에서 진행하는 거였다. 배터리 충전 때문에 체험도 많이 못 해봤고, 시연하는 사람들도 시연을 되게 못 하더라. OK Glass도 잘 인식하지 못하고 기능이 굉장히 제한되었다고 느꼈는데 이게 원래 그런건지 아니면 시연을 못 해서 그런건지는 모르겠다. 디스플레이 부분은 석영 같은게 달려 있고, 중앙에 화면이 나오는데 초점이 멀리 맞춰져서 눈 앞에 화면이 떠 있는 느낌은 잘 살아난다. 하지만 안경 위에 쓰면 화면 반이 잘리고 초점 맞추기도 힘들다. 안경 쓴 사람이 쓰기에는 힘들어보인다.

웨어러블 클리닉 분야는 주로 앉은 자세 교정에 관한 기기가 많이 나왔다. 허리에 차는 방식, 의자에 센서가 부착된 방식, 발판에 센서가 부착된 방식이 있었는데 허리에 차는거 빼고는 웨어러블이 아니지 않나라는 의문이 들었다. 셋 다 안드로이드 앱과 연동해서 데이터 수집해서 통계를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의자에 센서가 있는 방식이 제일 정확하다고 느껴졌다. 내 앉는 자세는 약간 비뚤어져서 오른쪽 어깨가 올라간 자세라는 결과가 나왔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나 생각해봤는데 아무래도 내 노트북 키보드가 숫자패드 때문에 화면 왼쪽으로 약간 치우쳐 있는데, 그 노트북에서 많이 치다 보니까 자세도 고정된 것 같다. 고칠 수 있으면 고쳐야지…

그 외에 괜찮았던 것들로는 위급상황시 구조 신호를 보내주는 밴드형 기기(독거 노인, 중환자 등), 아두이노를 이용한 오픈 소스 스마트 워치($50 정도의 비용) 등이 있었다. 실험적인 측면에서 나쁘지 않았던 것들로는 머리 제스쳐로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헤드폰(하지만 기존의 리모콘 달린 이어폰이 더 편하다), 손목에 차는 밴드 형태의 마우스(느리게 움직일 때 인식률이 떨어지고 주먹 쥐는 제스처를 지원하는데 인식률이 상품화시키기는 떨어진다), 구글 카드보드 VR(이건 기기 자체는 괜찮았던 것 같은데 체험 영상이 너무 박진감 없었던 것 같다)가 있었다. 그 외에도 킥스타터에서 봤던 Ring을 베낀 듯한 Motion Ring 및 기타와 연결하는 기기가 두 개 있었는데 진짜 베꼈는지 아닌지 모르고, 기타에 대한 지식이 없으니 평가는 보류하겠다.

괴작을 꼽자면 두 개가 있다. 첫 번째는 말하는 구두 Talking Heel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흥미로웠지만 실효성이 굉장히 떨어진다. 한 발을 들고 오래 서 있으면 ‘키스 미 달링’ 같은걸 말한다던가, 가게에 입장했을 때 쿠폰이 발급되고 버튼을 누르면 현재 위치와 SOS 메시지가 SNS에 올라가는 등의 기능이 있는데, 기존에 스마트폰에 있는 기능들을 구두에 달아서 조작만 불편해지고 패션 아이템이라는 구두의 특성을 무시한 사이보그 같은 디자인을 자랑한다. 특히 멀쩡한 입 놔두고 힘들게 한 발을 올려서 키스 미 달링을 굳이 구두가 말하게 하는 이유를 도저히 이해할 수가 없었다. 그냥 말하는 구두를 먼저 떠올린 다음 생각나는 기능들을 덕지덕지 붙인 느낌.

두 번째는 Metamorphosis였다. 이건 괴작이라기 보다는 있을 장소를 잘못 찾은 느낌이었다. 키네틱 아트로써 사용자의 혈중 알콜 농도를 측정해 옷의 팔 부분이 부풀어오르며 색깔이 변하는데, 다른 부스들이 전부 기술과 실효성에 집중했기 때문에 처음에는 음주운전 방지 뭐 이런 건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예술 분야 참가였다. 한국에 ‘취중진담’이라는 말이 있듯이 술과 사람의 태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한국의 음주문화와 그에 따른 사람들의 행동 양상이 달라지는 것들을 표현하고자 했다는 식으로 말을 했던 것 같은데 사실 잘 이해는 안 됐다… 궁금했던건 분무기로 알콜을 뿌려 시연을 하고, 실제로는 착용자의 입김에 반응한다는데 입김에서 나오는 알콜을 입고 있는 옷이 감지하지 못 할 것 같았다. 그래서 센서가 어디 있냐고 질문했더니 무시하시더라. 의혹이 깊어지는 순간이었다.

다 보고 나서 느낀 점은, 현재 웨어러블 기기의 병목은 배터리 기술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충전 때문에 시연을 쉬었다 반복하는 부스가 많았고(특히 구글 글래스…), 연속 사용 시간도 기타 기기들에 비해 상당히 많이 떨어진다. Motion Ring도 마우스를 대체하겠다는 꿈을 지니고 있었지만 1시간 30분 충전에 6시간 연속 사용이라는 배터리 잔량으로는 블루투스 마우스를 대체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어 보인다.

혹자는 웨어러블 기기를 스마트폰 다음의 메타 산업으로 꼽지만 나는 그 생각에는 회의적이다. 우선은 위에서 언급한 배터리 문제의 해결이 시급하고 가장 큰 문제는 차고 다니기 귀찮다는 점이다. 스마트폰의 경우 기존에 들고 다니던 피쳐폰을 ‘대체’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들어가는 노력이 적지만, 기존에 밴드를 차거나 안경을 쓰지 않던 사람들이 웨어러블 기기의 효과를 받기 위해 새롭게 밴드를 차거나 안경을 써야 하는 건 생각보다 많이 귀찮고, 그렇기 때문에 금방 질리게 된다. 이는 웨어러블 기기의 이탈률이 스마트폰보다 훨씬 높은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끝맺음이 이상한 것 같은데 결론은 이번 주말에는 수시 자소서 대신 후기를 썼다는 것이다 ㄹㄹ

안드로이드 느리고 화면도 작고 정렬 기능도 없어서 재생 목록 관리하기 귀찮았는데 PC에서 재생 목록 만들어서 안드로이드에 넣는 법을 알아냈다. PC랑 폰이랑 재생목록 따로 관리할 필요도 없고 완전 편한듯.

  1. 알송 등 자기가 쓰는 PC 플레이어에서 재생목록 .m3u로 내보낸다.
  2. 역슬래시를 슬래시로 바꿔준다. (윈도우의 경우)
  3. PC 기준 경로를 안드로이드 경로로 바꾼다. (예시: /storage/extSdCard/보관함/음악/)
  4. UTF-8로 저장한다.
  5. 미디어 스캔 되는 곳에 아무데나 넣는다.

이렇게 처리해 주면 자동으로 기본 음악 플레이어의 재생목록 추가된다.

+
알송이 한자 간체 등을 ?로 처리해버려서 일본어로 된 곡 몇 개가 깨지는데 일단은 수동으로 수정하고 있다.

OpenSSL이라는 굉장히 널리 쓰이는(apache, nginx, 기타등등) 보안 프로그램에서 Heartbleed라는 취약점이 공개됐는데 이 취약점을 이용하면 서버측 힙 메모리를 64KB씩 읽어올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서비스 유저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운이 좋은 경우 비밀키까지 알아낼 수도 있다.

비밀키가 뚫리는 경우 HTTPS로 암호화 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해커가 다 열어볼 수 있다. (비밀번호, 신용카드 정보 등)

2년 전 정도부터 존재했던 취약점이고, 특별한 증거를 남기지 않아 뚫렸는지 아닌지 이미 나쁜 해커들에게 악용되고 있었는지 여부도 불분명하다고 한다.

http://filippo.io/Heartbleed/
이런 사이트들에서 취약점 패치가 됐는지 아닌지를 테스트 할 수 있고, 현재 패치된 상태더라도 이전에 이미 비밀키가 털렸다면 키를 바꾸기 전까지는 위험하다.

어디가 어떻게 됐을지 모르니 쓰던 비밀번호도 다 바꾸고, 정상화 될 때까지 완전하게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가 아니라면 최대한 접속을 자제하는 편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한 링크
http://heartbleed.com/
http://a4.aurynj.net/post/82075898166/heartbleed

[이 글은 이전에 쓰던 블로그에서 작성된 이후 새 블로그로 이전된 글입니다.]

  1. 배경이 ‘밤’이다.
    FireFox 등과 같이 Nightly Build 등의 개발 중인 버전을 공개할 것을 의미한다.

  2. 상대가 로봇
    불법 봇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행위들을 강력히 규탄할 것임을 의미한다.

  3. 방패로 적의 공격을 막는 장면
    HTTPS 연결 될 때 나오는 방패 아이콘과 유사한데, 악성코드 침입 방지 기능의 강화로 해석할 수 있다.

  4. 변신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하나는 기존에 존재하는 사생활 보호 모드인 InPrivate 모드를 의미하며 두 가지 모드 간의 자유로운 전환과 더 강력해진 InPrivate 모드로 해석할 수 있을 것 같고, 그게 아니라면 한 컴퓨터를 여러 사용자가 사용할 때 브라우저가 사용자별로 최적화된 경험을 제공해준다는 의미일 가능성이 있다.

  5. 신발에서 나오는 부스터
    IE 10에 비해 더욱 빨라진 속도

  6. 광역 공격
    멀티 스레드를 사용해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구현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7. 마지막에 나오는 거대한 적
    최근 빈번히 일어나는 사이버 범죄에 대한 경각심을 유발하며, 마이크로소프트가 앞장서 이에 맞서 싸워 나갈 것을 의미한다.

  8. 계속(つづく)
    (7)에서 언급한 사이버 범죄와 계속 싸워 나간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전을 제시하고, IE 11의 꾸준한 업데이트를 상징한다.

==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셔도 곤란합니다.